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위험산모 자간전증, 당뇨, 조기진통, 조기양막파열, 자궁경부무력증

by 찬찬b 2025. 4. 17.

1. 자간전증(Preeclampsia, PE)

1) 산모의 혈압과 관련된 진단 구분 

(1) PE의 진단기준

✔ 임신 20주 이후 처음으로 진단

✔ SBP 140mmHg이상 or DBP 90mmHg 이상의 고혈압

✔ 의미 있는 단백뇨

1)가 있거나 다음 중 한가지 이상이 수반될 때 진단.

∎ low platelet (100k 미만)

∎ 신기능 악화 : Cr 1.1mg/dL 또는 기존의 2배 이상 상승한 경우

∎ 간 기능 저하 : 정상의 2배 이상 상승한 간수치

∎ Sx : HA, blurred vision, Sz, epigastric pain 등

∎ pul.edema(폐부종)

 

2. 당뇨 (GDM)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1) 산모의 당뇨과 관련된 진단 구분

GDM(Gestational Diabetes) = 임신성당뇨

▶공복혈장혈당 < 105 mg/dL 일 때 : 식이요법 (= GDM on diet)

▶공복혈장혈당 ≥ 105 mg/dL 일 때 : 인슐린 (= GDM on insulin)

Pregestational diabetes = 당뇨병 임신 = overt DM

⦁ 고혈당, 요당, 케톤산 혈증이 있을 경우

⦁ 무작위 혈당치 200mg/dL를 초과하면서 다음(polydipsia), 다뇨 (polyuria), 원인불명의 체중감소의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과 징후가 있는 경우

⦁ 공복혈당이 125mg/dL를 초과하는 경우

⦁ HbA1c 6.5% 이상인 경우 등

 

3. 조기진통 PTL (preterm labor)

PTL로 치료가 필요한 산모의 경우 분만장내 집중관찰실에 입원함.

병동 재원환자 중에 37주 이전에 규칙적인 자궁수축이 생긴 산모가 생길시 즉시 주치의에서 알리고 분만장 에 인계하여 보낼 수 있어야함.

1) 조기진통의 정의

(1) 2012년 ACOG(미국산부인과학회) 및 미국소아과학회(AAP)의 정의 : 임신 37주 이전에 자궁경부의 변화를 동반하는 규칙적인 자궁수축

 

4. 조기양막파열(PPROM)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1) PPROM의 정의 및 치료

- 정의 : 37주 이전의 양막파열

- 치료 : 대개 일주일 이내에 자연진통이 발생한다는 점, cord prolapse의 위험성이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입원하여 경과관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자궁경부무력증 (IIOC) (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 짧아진 경부(Short Cervix(Cx)

(1) IIOC로 고려해야할 4가지 임상 소견

① 임신 2기 이후에 반복되는 임신 소실의 병력이 있거나

② 임신 2기 이후에 자궁 수축 없이 자궁경부의 effacement & dilatation이 있을 때

③ 자궁경부무력증을 의심할 만한 병력이 있는 임신부의 초음파 검사에서 진행성으로 자궁경부가 점점 짧아질 때

④ 우연히 초음파검사에서 자궁경부가 짧아져 있고 funneling을 보일 때

 

(2) IIOC의 초음파 소견

① cervix 길이가 짧아지거나 (2.5cm미만)

② funneling 40-50% 이상 변화

③ bag bulging 보임

④ cervical stress test시에 경부가 더 짧아지거나 funneling 변화가 나타남

- stress test는 보통 자궁에 압력을 가하는 valsalva 법이나, 자궁의 기저부를 눌러봄 이 때 경부가 2mm 이상 짧아지거나 funneling 변화가 나타나면 양성으로 진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