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궁절제술
①TAH: Total Laparotomy Hysterectomy
복식 전자궁절제술은 복부절개를 통해 자궁 전체를 절개하는 방법으로, 자궁이 매우 커져 있을 때, 혹은 복부에 자궁내막증이나 유착과 같은 문제가 있을 때 실시한다. 적응증으로 주로 자궁 근종, 자궁내막암, 골반통, 기능 부전성 자궁출혈 등이 있다.
②VTH: Vaginal Total Hysterectomy
질식 전자궁절제술은 질구를 통해 자궁 전체를 절제하고 분리된 자궁을 질을 통해 제거하는 경우로, 주로 자궁탈출증이 있을 때 이용되며 대개 척추마취로 시행하게 된다. 만일 질구가 너무 좁거나 자궁의 종양이나 난소에 병변이 의심될 때는 이용할 수 없다. ③TLH: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복강경을 이용한 전자궁절제술은 대개 전신마취로 시행하게 되며 배꼽 아래, 1cm, 하복부 양측에 5mm 정도의 구멍을 뚫고 이를 통해 내시경 장비를 집어넣어 수술하게 된다. 배꼽 쪽 절개를 통해 복강 내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여 배를 팽창시켜 시야를 확보한 뒤, 수술부위를 관찰하면서 자궁의 혈관을 먼저 분리해낸 후 자궁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절제된 자궁은 질을 통해서 제거할 수도 있고, 복강 내에서 작은 조각으로 자른 후 복강에 삽입된 하나의 관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 부인과 종양 질환 중 자궁절제술의 적응증이 되는 거의 모든 예에서 시행할 수 있으며, 일부 초기 암에서도 시도되고 있다. 수술시간은 병변과 수술 범위에 따라 30분에서 2시간 반 정도 소요되는 것이 보통이다.
④LAVH: 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절제술은 복강경을 통해 난관과 자궁만 분리하고 질식으로 절제 후 자궁을 질을 통해 제거하는 수술방법이다. 수술 후 지혈목적으로 질 안에 거즈패킹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