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임신중 태아 초음파 방법

by 찬찬b 2025. 4. 17.

1)초음파

(1) 목적: 태아의 수, 태위, 태아 생존력 확인, 태반의 위치, 태아 선진부, 양수의 양, 재태연령 측정, 태아 심 장활동, 모체 골반 종양의 유무, 비정상적 해부학적 구조 등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된다. 또한 양수천자와 같은 침습적 검사 시행 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가이드로 활용되기도 한다.

 

(2) 검사방법

①질식 초음파

-probe를 질 속으로 삽입하여 골반구조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복부초음파에 비해 골반구조에 더 가까이 접 근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명확하게 골반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주로 임신 초기 자궁 내 정상임신 확인, 임신 주수 확인, 다태임신 확인, 염색체 이상아 선별, 임신 초기 태아의 구조적 기형유무 선별, 임부의 자궁 및 난소 확인, 자궁경부무력증의 증상을 사정하여 조산 가능성 예측에 이용된다.

-검사 전 방광을 비우도록 하며, 비만 여성, 복부에 상흔이 있는 여성, 장에 가스가 차 있는 여성인 경우에 유용하다.

②복부 초음파

-probe를 임부의 배 위에 놓고 골반구조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질식 초음파에 비해 해상도는 떨어지지만,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하여 골반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주로 임신 중반기 이후 태아의 신체 계측, 구조적 기형유무 선별, 양수, 태반, 탯줄등의 태아환경 평가에 사용된다.

-방광을 가득 채운채로 검사한다.

③도플러 초음파

-초음파 음향의 도플러 이동 현상을 이용하여 산모와 태아의 혈류량과 혈류의 속도를 측정한다.

-태아심음 청진, 모체-태아 단위에서 뇌혈관, 신장, 내장골, 대퇴, 제대동맥을 포함한 몇 가지 혈관에서의 속 도 측정, 전치태반의 평가에 이용된다.

-end diastolic velocity, 이완기 속도: 제대순환에서 순환량이 증가하면 혈관 저항이 감소되기 때문에 재태 기간이 늘어날수록 상대적인 이완기 흐름은 상승한다. 제대동맥에서 이완기 속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태 아에게는 선천성 기형, 주산기 사망률, 제왕절개 분만, 태아 질식 등의 위험률이 증가한다.

*목덜미 투명대 측정검사: 다운증후군(상염색체 21번)이나 상염색체 13,18번의 이상과 같은 태아의 염색체 이상을 발견하기 위한 것으로 임신 11주에서 13주 사이에 모체 혈청검사와 더불어 초음파를 이용하여 시 행하는 검사이다. 투명대의 두께가 3mm 이상인 경우 다운증후군의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2) NST (Non Stress Test) 무자극검사

(1)원리

-산혈증이나 신경학적 억제가 없는 태아에게 태아의 운동과 더불어 심박동수가 일시적으로 가속된다는 것 을 전제로, reactive는 태아의 자율신경계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좋은 지표로 생각할 수 있다.

(nonreactive는 수면주기가 관련되거나 태아 산혈증 및 중추신경계 억제로 유발될 수 있다.)

태아의 재태 연 령이 증가함에 따라 태아 심방동수의 증가를 동반한 태동이 나타나는 비율이 높아진다.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태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정맥 내 약물 주입을 하지 않으므로 부작용 없이 시행될 수 있다.

 

(2) NST의 indication

① Post date (overterm : 42주 이상)

② PROM, preterm labor (보통 24-26주 이상)

③ IUGR(intra uterine growth retardation)이 의심될 때

④ GDM

⑤ Previous stilbirth Hx

⑥ PIH, PE, Eclampsial, chronic HTN

⑦ Fetal movement의 감소

⑧ 청진 상 FHR에 이상이 있을 때

⑨ Multiple pregnancy ⑩ Vaginal bleeding, placenta 기능 부전 의심

 

(3) 결과해석

① Reactive : 32주 이상의 태아에게서 20분 동안 태동인지와 관계없이 FHT baseline을 기준으로 태아심 박상승의 고점이 15bpm 이상, 15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2회 이상 나타날 경우

(32주 이전: Acceleration이 10bpm이상, 10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2회 이상.)

② Nonreactive : 40분 이상 관찰하여도 충분한 태아심박동수의 증가가 없는 경우.

(수면주기에 걸치거나 건강한 태아라 하더라도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80~120분으로 연장하여 검사하여 nonreactive여부 판정. 이 경우에도 반응이 적절하지 않다면 심한 병적상태로 판단.)

 

3) BPP (Biophysical profile) 생물리학계수

(1) BPP scoring

(2) BPP 판정 및 치료지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