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궁탈출증(Uterine prolapse)

by 찬찬b 2025. 7. 14.

골반장기탈출증은 골반 내 장기가 정상 위치에서 질벽을 통해 아래쪽으로 또는 앞쪽으로 이동하여 탈출하 는 것으로 그 정도가 경증의 이완으로부터 완전한 자궁탈출과 질의 외번까지 포함된다.

 

1) 유형

- 골반장기탈출증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정상 골반저(pelvic floor)는 질전벽 ,질후벽, 질첨부로 구획을 나누어 볼 수 있다

(1) 방광류(cystoecele)는 질전벽을 통해 방광이 이탈하는 것이다 자궁탈출증은 기인대(cardinal ligament) 나 자궁천골인대의 접착부인 질첨단부의 지지가 좋지 않음으로 발생한다.

(2) 직장류(rectocele)는 직장이 질후벽을 통해 탈출되는 것으로, 직장을 뒤쪽으로 잡아주고 있는 직장의 근육층과 질방 근결합 조직의 약화로 인한 것이다.

(3) 완전자궁질탈출증(procidentia)은 자궁과 질이 모두 탈출하는 것을 일컬으며, 질원개 탈출증(vaginal vault prolapse)은 전자궁절제술 후 질원개가 질강을 통해 탈출하는 것이다.

 

2) 증상

- 골반장기탈출증이 있는 여성의 경우 흔히 하부요로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빈뇨, 절박뇨및 요실금과 같 은 요 저장장애 증상 혹은 요폐색과 같은 배뇨장애 증상을 경험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무뇨증(anuria)을 호소할 수 있다. 또한 질부위 하중감, 이물감 및 불편감 혹은 하부 요통을 호소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변비, 설사, 변실금 및 성교통 등도 호소한다.

 

3) 검사 및 진단

- 기본 쇄석위(standard lithotomy position)자세에서 골반기저부에 대한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고, 환자가 호소하는 정도의 탈출증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에는 특히 서있을 때 증상이 악화되므로 직립자세에서 환자 를 진찰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된다. 진단을 위해 영상학적 검사를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필 요하다면 방광조영술, 질초음파, 배변조영술 및 자기공명촬영(MRI)을 시행해 볼 수 있다.

 

4) 치료

- 골반장기탈출 소견이 관찰되더라도 연관된 증상이 없는 경우 치료를 필요로 하지않는다. 연관된 증상 이 있는 경우에는 탈출의 정도, 환자의 연령과 전신 건강상태, 향후 임신계획, 치료선호도에 따라 비수술적 또는 수술적 방법을 통해 치료한다.

(1) 비수술적치료

- 탈출이 심하지 않거나 향후 임신을 원하는 경우, 환자가 수술을 받기 어려운 상태이거나 수술을 원치 않는 경우 대증요법이나 페사리를 이용하여 치료한다.

가. 대증요법

체중 감량, 복압 상승을 초래하는 활동 줄이기 등의 생활방식개선과 골반저근운동(pelvic floor muscle exercise)과 같은 물리치료요법이 있다. 골반저근운동은 탈출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 진행을 막고 연관증상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질 입구를 넘어서는 탈출이 있 는 경우 덜 효과적이다 (Thakar et al., 2004)

나. 페사리(pessary)

환자가 수술을 원치 않거나 다른 질환으로 인해 수술을 받기 힘든 경우, 다른 비 수술적 치료에 적합하지 않은 심한 탈출이 있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며, 임신 중 골반 장기탈출증 치료로도 사용된다. 페사리는 지지형(support)과 공간채움형(space filling)의 두 종류로 구분되며, 전통적으로 링페사 리와 같은 지지형 페사리는 1,2기 탈출증에, Gellhorn 페사리와 같은 공간채움형 페사리는 3,4기 탈출증에 사용된다(Cundiff et al., 2000).

(2) 수술적치료

가. 질재건술

 : 질전벽, 후질벽, 질첨부 중 유의한 탈출이 있는 부위를 지지하는 조직을 봉합 또는 보강하 는 수술법이다. 증상을 동반한 골반장기탈출증의 경우 대부분 여러 부위의 탈출이 함께 발생하므로, 완전한 재건술을 시행하는 데에는 긴 수술시간이 소요된다.

나. 질폐쇄술

 : 질강을 폐쇄시킴으로써 성생활을 지속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나 재건술에 비해 수술에 소 요되는 시간이 짧고 출혈량이 많지 않아 몸이 쇠약한 고령 여성에세 시행하기 적합한 수술이다. 심각한 이 환율 증가 없이 탈출 증상을 완화시켜 줄 수 있으며, 재발율이 매우 낮고 만족도도 높은 수술 방법으로 알 려져 있다(Abbasy et al., 20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