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Chest PCD, 흉부배액관 삽입술 간호

by 찬찬b 2024. 3. 26.
Chest PCD(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흉부배액관 삽입술

 

가) 시술의 목적

흉관삽입술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흉강 내부에 공기나 체액 등이 차게 되면 흉강 내부로 관을 삽입하여 공기나 체액 등을 배출시키는 시술이다. 기포가 터지면서 기흉이 발생한 경우, 외상이나 의학적 처치 중 발생한 손상에 의해 외상성 기흉이나 혈흉이 발생한 경우, 흉강에 염증이 발생하여 고름이 고인 농흉, 폐나 심장수술을 시행한 환자에 의해 흉강 내부에 고인 공기나 혈액을 배출시키고 허탈된 폐를 펴기 위해 시행한다.

 

나) 시술과정

① 흉관의 삽입위치나 시술을 위한 체위는 환자의 상태나 배액부위에 따라 달라진다.

② 환자에게 자세를 잡게 하고 흉관을 삽입할 부위를 소독한 다음 소독포를 덮고 국소마취제를 주사한다.

③ 흉관을 삽입할 부위에 약 1.5cm정도 피부 절개를 가하고 기구를 이용하여 늑간근육과 흉막을 천공한다.

④ 흉강 속으로 흉관을 삽입하고 물이 든 배액관을 흉관에 연결한다.

⑤ 피부를 봉합하고 흉관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 다음 공기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단단히 밀봉 후 드레싱한다.

⑥ 시술 후 흉부 방사선 촬영하여 흉관의 위치나 합병증 발생여부 관찰한다.

⑦ 시술은 약 15~30분정도 소요

 

다) 시술 후 치료과정

① 흉관을 삽입한 후 정기적으로 흉부 X선을 촬영하여 배액되는 액체의 양과 성상 확인한다

② 환자의 폐가 완전히 펴지고 별다른 문제가 없으면 흉관을 제거하고 시술부위 봉합한다. 필요시 흉관을 제거하기 전에 튜브를 막은 상태를 제거하여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 확인한 다음 제거하기도 한다.

③ 흉관을 제거한 경우 반나절 가량 안정이 필요하고, 재발의 가능성은 항상 있을 수 있어서 주의 관찰이 필요하다

④ 흉관 제거부위 메드레스는 흉관 제거일로부터 3일 뒤에 제거한다. 영상의학과에서 삽입한 C-PCD는 stitch out 할 필요 없으나 TS에서 삽입한 C-tube는 제거 일주일 후 stitch out을 시행한다.

 

라) 시술의 합병증

① 약제로 인한 부작용: 시술을 위해 투여한 국소마취제나 안정제로 인해 어지럼증, 구토, 저혈압 발생할 수도 있음

② 주위조직 손상: 흉벽에서 출혈 발생해서 혈종이 생기거나 흉관 주변 피부에 공기가 고이면서 피하기종 발생. 흉관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폐나 심장 등 주위 조직이나 장기가 손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흉이나 출혈이 추가로 발생할 수도 있음

③ 염증: 흉관을 삽입한 부위에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흉강 내부로 염증이 진행하여 고름이 모이는 농흉 발생할 수 있음. 염증 발생한 경우 항생제 치료 등 적절한 조치 시행

④ 치료실패: 흉막유착에 의해 공기나 체액 등이 충분히 배액되지 않을 수 있음. 손상된 부위에서 공기가 계속 노출되거나 출혈이 지속되는 경우 흉관 삽입만으로 치료가 되지 않아 수술적 치료 고려

 

마) 시술 전/후 간호

(1) 시술 전 간호

① 혈관조영실 ② 동의서 (흉관배액관 삽입술) ③ 식간 금식, IV 18G, 수액 연결 ④ tube change or removal 경우 준비사항 없음 ⑤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복용 여부 확인 ⑥ 수술 후 흉관을 삽입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흉관 삽입은 응급으로 시행하는 경우가 많음. 흉부 방사선 촬영하여 병변의 위치나 범위를 확인하며 필요시 흉부 CT 시행

 

(2) 시술 후 간호

① post chest PA 확인하여 합병증 및 위치 확인

② chest bottle 연결하고 air leakage, oscilation 확인, prn thoracic suction연결

③ PCD site 문제가 없다면 이틀에 한번 드레싱

④ 배액양 600-700cc 되면 bottle 교환

⑤ 기흉환자 이동시 배액관 clamp금함

⑥ 매 듀티별로 배액양, 배액양상, air leakage, oscilation 확인 후 기록

⑦ 폐가 빨리 펴질 수 있도록 심호흡과 기침을 권함. 호흡운동 열심히 하기

⑧ 도관이 꺾이거나 빠지지 않도록 주의, 배액병은 공기로 밀봉된 상태로 유지. 필요시 흡인장치를 연결하여 음압을 걸어주기도 함, 배액병은 몸보다 낮은 위치로 유지하며 배액병이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

⑨ 호흡곤란 발생하거나 흉통이 심해지는 경우, 배액되는 액체의 양이나 성상이 갑자기 변하는 경우 즉시 알리기 

 

Chest tube 관리 방법

daily dressing chest tube drainage q8hr check (amount and color 양상 관찰)

air bubbling(leakage), oscillation으로 흉관 개방성 유무를 확인 chest tube line과 suction line의 patency 확인 (꼬이거나 꺾이지 않도록 주의)

thoracic suction PVC line에 물이 고여 있는지 확인 (물이 고여 있으면 압력에 영향을 끼침)

thoracic wall suction의 물기둥의 높이가 일정하게 차있는지 공기방울이 일정하게 나오는지 확인

심호흡, 기침 권장 : 폐 재팽창 도모 bottle은 환자 흉곽보다 낮은 위치 유지 Chest PA f/u : 흉관 위치, 폐확장 유무, 무기폐의 유무, 사공간의 유무, 늑막액 잔존 유무 확인 공기 누출이 있는 환자의 경우 bottle 교환을 제외하고 절대로 관을 clamping해서는 안됨

chest bottle의 배액량이 700~800cc가 되면 교환 수술직후나 chest tube 삽입 직후에는 한 시간마다 배액량을 체크하여 시간당 100cc 이상의 배액이 있는 경우 의사에게 알림

 

※ 응급 상황, 환자의 상태에 따라 TS를 contact해서 침상 옆에서 C-tube를 삽입 병실에서 bed side C-tube 삽입하는 경우 준비물품

-TS 의사가 시행, 필요시 주치의 및 인턴 support Incision set, 10% betadine ball, chest tube(fr 확인), chest bottle, bottle 걸이, I자관, thoracic suction, PVC line, Mess(#15), 2.0, 3.0 nylon, 4*4 gauze, Y자 gauze, 면 plaster, 2% lidocaine, 10cc syringe, 26G needle(마취용), glove, kelly, 9*10 medress 2개

 

바) 흉부배액관 관련 병실내 관리 및 간호 응급상황시 대처방법

Disconnect 환자의 가슴과 가장 가까운 부위의 튜브를 kelly로 잠그고 의사에게 알린다.

완전히 빠졌을 때 즉시 손이나 홑이불, 거즈 등으로 그 부위에 압력을 가한 후 의사에게 알린다.

배액병이 쓰러졌을 때 빨리 병을 일으켜 세워 높고 기능이 돌아오는지 확인한 후 chest bottle을 교환한다. .

Thoracic suction power (흉부배액관 석션압) 내과적 석션압 계산 (내과는 실제로 환자에게 걸리는 압력을 의미)

Thoracic suction 물기둥 - Water seal 물기둥 = suction power

ex) 25cmH2O - 10cmH2O = 15cmH2O TS는 물기둥 압력을 의미 (실제로 TS waterseal은 5cmH2O로 고정)

 

※ thoracic suction의 물기둥은 최대 25cmH2O까지만 가능(눈금이상으로 물을 더 채우면 고장날 가능성이 크므로 압력을 더 올리고 싶다면 bottle의 waterseal을 내려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