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토혈3

상부위장관 출혈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상부위장관 출혈(1) 원인E. varix, 식도염, Mallory-Weiss syndrome, 출혈성 위염, 소화성궤양, 스트레스궤양, 위암 (2) 증상① hematemesis a. 대량의 출혈이 발생하여 피를 토하는 경우를 말하며, 많은 경우가 위에서의 혈액 토출이지만 때로는 식도, 십이지장으로부터 토혈되는 경우도 있음b. 출혈 직후에 토하면 선명한 붉은색을 띠지만, 시간이 경과하면 색이 진해지고 갈색이나 검은색을 띠기도 함 ② melena a. 흑색변은 자장면 소스나 타르처럼 검정색을 띠는 변b. 상부 위장관 출혈이 있는 경우, 혈액의 적혈구에 있는 헤모글로빈(hemoglobin)이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과 반응하여 hematin으로 변하면서 어두운 색을 띠게 됨 ③ hematochezia a. 상부위.. 2024. 11. 19.
위장관계 출혈(L-tube irrigation, PPI loading ) *상부 위장관 출혈 (Upper GI bleeding) [CASE 1] 환자가 짜장색 같은 대변을 보았고 피를 토했다고 한다. BP를 측정하니 80/50mmHg check되고, Hb은 6g/dl check된다. 어떻게 해야할까?[CASE 2] Levin tube feeding을 하는 환자가 regurge시 위 내용물이 검붉은색으로 나왔다고 한다. 어떻게 해야할까? *하부 위장관 출혈 (Lower GI bleeding)[CASE 1] 환자가 선홍색 대변을 보았다고 한다. 어떻게 해야할까? ① 상부위장관 출혈 원인 대표증상: hematemesis, hematochezia(대량출혈일 경우), melena Ÿ 소화성궤양(약 50%, 약물복용력, asprin, NSAIDs, wafarin, Xa인자억제제, 스테로.. 2024. 7. 11.
객혈 Hemoptysis의 병태생리, 원인, 진단, 치료 객혈 Hemoptysis 호흡기계로부터 피가 배출되는 것을 말하며, 기침 및 호흡곤란 등 여러 가지 호흡기 증상과 함께 매우 중요한 임상 소견이다. 객혈의 양은 객담에 피가 조 섞여 나오는 혈담(blood-tinged or blood-streaked sputum)부터 컵을 가득 채울 정도까지 다양하다. 이 중 대량 객혈(massive hemoptysis)은 24시간 동안 100-600mL의 혈액을 배출하는 것을 뜻한다. 대량 객혈은 전체 객혈 환자의 약 10%에서 볼 수 있으며, 그 예후는 출혈의 양 및 신속하고 효과적인 치료의 여부에 달려있다. 가) 병태생리 혈액은 기관지동맥과 폐동맥을 통해 폐로 들어간다. 기관지동맥은 전신 혈압의 영향을 받아 높은 압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체 객혈의 90%는 기관지.. 2024. 3.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