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성간호학5

산후관리 산후관리 산욕기(postpartum)란 분만 직후부터 6주간을 말하며, 이 기간은 모든 신체기관이 임신 이전 상태로 되돌아가는 시기로, 이때의 간호는 산후의 회복 및 중년 이후의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1) 산후 생리적 변화2) 산모 간호(1)자궁퇴축-분만 후 자궁저부 검진을 통해 자궁이 이완되어 있는지 파악하고, 자궁이완 시에는 자궁이 견고하고 본래의 강도를 유지하게 될 때까지 간헐적으로 자궁마사지를 시행한다.- 출혈의 양을 기록하고 단시간 내에 자궁이 알맞게 수축되지 않거나 단단하게 수축된 후에도 출혈이 계속 되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정상적으로 자궁이 퇴축되고 있는지 혹은 자궁 저부 높이의 무변화, 자궁 저부 무기력, 자궁 통증, 계속적인 선홍색의 출혈 유무, 악취 나는 오로 상태 등과 같.. 2025. 2. 24.
분만 간호 : 유도분만과 자연분만 1. 유도분만 (IVP, intravenous pitocin, labor induction) 자발적인 분만 진통이 시작되기 전 자궁 수축을 일으키는 외부 물질을 투약하여 인위적으로 분만 진통을 유발하여 질식 분만하는 방법이다. ① indication- 임산부의 고혈압- 임산부의 당뇨병- 지연임신(postterm pregrancy) (※ postterm 기준 : 40+0 wks 이후)- 태아 발육지연(FGR) - 태아 폐성숙이 확인된 조기양막파수(PPROM)- 동종면역(Isoimmunization)- 태아의 상태가 안심할 수 없는 경우(Nonreassuring fetal status, NRFS)- 융모양막염(chorioamnionitis)- 자궁내 태아사망(Intrauterine fetal demise) .. 2025. 2. 24.
임신 중 태아 건강 사정 1) 초음파(1) 목적태아의 수, 태위, 태아 생존력 확인, 태반의 위치, 태아 선진부, 양수의 양, 재태연령 측정, 태아 심장활동, 모체 골반 종양의 유무, 비정상적 해부학적 구조 등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된다. 또한 양수천자와 같은 침습적 검사 시행 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가이드로 활용되기도 한다.(2) 검사방법①질식 초음파-probe를 질 속으로 삽입하여 골반구조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복부초음파에 비해 골반구조에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명확하게 골반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주로 임신 초기 자궁 내 정상임신 확인, 임신 주수 확인, 다태임신 확인, 염색체 이상아 선별, 임신 초기 태아의 구조적 기형유무 선별, 임부의 자궁 및 난소 확인, 자궁경부무력증의 증상을 사정하여 조산 가능성 예.. 2025. 2. 24.
임신에 따른 생리적 변화 1) 생식기계 ①자궁-자궁의 크기는 임신 전에는 약 50g, 10cc이하의 용적에서 임신 말기에는 1000g이상, 약 5000cc이상으로 증가한다. 기존 자궁근세포들의 확장과 비대에 의해 자궁의 길이, 넓이, 두께, 무게, 용적 모두 증가한다. 임신 초기에는 주로 에스트로겐의 작용에 의해, 임신 3개월 이후에는 태아 및 부속기관의 확대로 인해 자궁용적이 증가한다. 자궁벽의 두께는 임신 초기 몇 달 동안 증가했다가 임신 말기에는 자궁근층이 1.5cm 이하로 점점 얇고 부드럽게 되어 복벽을 통해 태아의 촉지가 가능해진다.  -임신 주수에 따른 자궁저부의 위치  ②난소-임신을 하면 난소는 배란을 중단한다-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되어 배포를 착상시키고 태반을 발달시킨다. 수정 8일부터 hCG hormone이 분비되어.. 2025. 2.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