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부인과7 자궁외임신 1) 빈도 자궁외임신은 산부인과 영역에서 가장 흔한 응급상황의 하나로, 보고되는 빈도는 1,000건의 임신당 6.4-20.7건으로 다양하다(CDC,1995;Hoover et al., 2010). 2) 종류(1) 난관 내 자궁외임신(Tubal Ectopic Pregnancy)난관 내 자궁외 임신은 전체 자궁외임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수정된 난자는 난관의 어느 부분이라도 착상이 가능한데, 특히 난관의 팽대부에 착상되는 경우가 많다. 그 다음 많이 발생하는 곳은 협부(isthmus) 이며, 다음으로 자궁관술(fimbrial), 간질(interstitial)부위 의 순서로 발생한다. 난관 내 자궁외임신은 난관 내 에서 유산되거나 난관이 터지는 경우 가 있는데 주로 난관 내의 발생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2025. 7. 14. 임신에 따른 생리적 변화 1) 생식기계 ①자궁-자궁의 크기는 임신 전에는 약 50g, 10cc이하의 용적에서 임신 말기에는 1000g이상, 약 5000cc이상으로 증가한다. 기존 자궁근세포들의 확장과 비대에 의해 자궁의 길이, 넓이, 두께, 무게, 용적 모두 증가한다. 임신 초기에는 주로 에스트로겐의 작용에 의해, 임신 3개월 이후에는 태아 및 부속기관의 확대로 인해 자궁용적이 증가한다. 자궁벽의 두께는 임신 초기 몇 달 동안 증가했다가 임신 말기에는 자궁근층이 1.5cm 이하로 점점 얇고 부드럽게 되어 복벽을 통해 태아의 촉지가 가능해진다. -임신 주수에 따른 자궁저부의 위치 ②난소-임신을 하면 난소는 배란을 중단한다-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되어 배포를 착상시키고 태반을 발달시킨다. 수정 8일부터 hCG hormone이 분비되어.. 2025. 2. 24. 월경 주기와 임신 과정 월경 주기와 임신 월경은 자궁내막이 피와 함께 배출되는 것으로 월경 주기의 범위는 대체로 약 25~36일이다.여성의 10~15% 만이 정확히 28일의 주기를 가지며, 20% 이상의 여성이 불규칙한 주기를 가진다.월경은 3~7일 지속되며 평균은 5일이다. 월경 주기 중 실혈되는 양은 대개 약 14~71g이다.월경혈은 상처에 난 피와 달리 대개 출혈양이 아주 많지 않으면 응고되지 않는다. 월경 주기는 호르몬으로 조절된다. 뇌하수체에서 분비하는 황체형성 호르몬 (LH, Luteinizing Hormone)과 난포 자극 호르몬 (FSH, Follicle Stimulating Hormone)은 배란을 촉진하며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도록 난소를 자극한다.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은 수정이 가능하도록 자.. 2025. 2. 24.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