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부인과간호9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증은 샘(gland)와 기질(stroma)을 포함한 자궁내막조직이 자궁강(endometrial cavity)이외의 부위 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월경주기에 따라 병변에서 주기적인 출혈이 일어나 염증을 일으키고 반흔과 유착을 남겨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1) 진단(1) 검사실검사- 자궁내막증의 진단을 위해 CA 19-9, CA-125는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내막증 환자를 진단하는데 도움 이 된다고 한 보고들이 있다(Watanabe et al., 1999;강태정 등, 2000;최영민 등, 2002).(2) 영상 진단법가. 초음파검사 : 초음파검사는 자궁내막증이 의심되는 환자를 평가하기 위하여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 으로 자궁내막종의 진단에 특히 유용하지만 유착이나 표층 자궁내.. 2025. 7. 14.
자궁외임신 1) 빈도 자궁외임신은 산부인과 영역에서 가장 흔한 응급상황의 하나로, 보고되는 빈도는 1,000건의 임신당 6.4-20.7건으로 다양하다(CDC,1995;Hoover et al., 2010). 2) 종류(1) 난관 내 자궁외임신(Tubal Ectopic Pregnancy)난관 내 자궁외 임신은 전체 자궁외임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수정된 난자는 난관의 어느 부분이라도 착상이 가능한데, 특히 난관의 팽대부에 착상되는 경우가 많다. 그 다음 많이 발생하는 곳은 협부(isthmus) 이며, 다음으로 자궁관술(fimbrial), 간질(interstitial)부위 의 순서로 발생한다. 난관 내 자궁외임신은 난관 내 에서 유산되거나 난관이 터지는 경우 가 있는데 주로 난관 내의 발생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2025. 7. 14.
분만 간호 : 유도분만과 자연분만 1. 유도분만 (IVP, intravenous pitocin, labor induction) 자발적인 분만 진통이 시작되기 전 자궁 수축을 일으키는 외부 물질을 투약하여 인위적으로 분만 진통을 유발하여 질식 분만하는 방법이다. ① indication- 임산부의 고혈압- 임산부의 당뇨병- 지연임신(postterm pregrancy) (※ postterm 기준 : 40+0 wks 이후)- 태아 발육지연(FGR) - 태아 폐성숙이 확인된 조기양막파수(PPROM)- 동종면역(Isoimmunization)- 태아의 상태가 안심할 수 없는 경우(Nonreassuring fetal status, NRFS)- 융모양막염(chorioamnionitis)- 자궁내 태아사망(Intrauterine fetal demise) .. 2025. 2. 24.
임신 중 태아 건강 사정 1) 초음파(1) 목적태아의 수, 태위, 태아 생존력 확인, 태반의 위치, 태아 선진부, 양수의 양, 재태연령 측정, 태아 심장활동, 모체 골반 종양의 유무, 비정상적 해부학적 구조 등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된다. 또한 양수천자와 같은 침습적 검사 시행 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가이드로 활용되기도 한다.(2) 검사방법①질식 초음파-probe를 질 속으로 삽입하여 골반구조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복부초음파에 비해 골반구조에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명확하게 골반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주로 임신 초기 자궁 내 정상임신 확인, 임신 주수 확인, 다태임신 확인, 염색체 이상아 선별, 임신 초기 태아의 구조적 기형유무 선별, 임부의 자궁 및 난소 확인, 자궁경부무력증의 증상을 사정하여 조산 가능성 예.. 2025. 2.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