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0

부인과 수술 : 자궁절제술 Hysterectomy 1) 자궁절제술①TAH: Total Laparotomy Hysterectomy 복식 전자궁절제술은 복부절개를 통해 자궁 전체를 절개하는 방법으로, 자궁이 매우 커져 있을 때, 혹은 복부에 자궁내막증이나 유착과 같은 문제가 있을 때 실시한다. 적응증으로 주로 자궁 근종, 자궁내막암, 골반통, 기능 부전성 자궁출혈 등이 있다.②VTH: Vaginal Total Hysterectomy 질식 전자궁절제술은 질구를 통해 자궁 전체를 절제하고 분리된 자궁을 질을 통해 제거하는 경우로, 주로 자궁탈출증이 있을 때 이용되며 대개 척추마취로 시행하게 된다. 만일 질구가 너무 좁거나 자궁의 종양이나 난소에 병변이 의심될 때는 이용할 수 없다. ③TLH: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복강경을 이.. 2025. 9. 2.
상피성 난소암 상피성 난소암은 주로 폐경 후 50-60대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고, 경계성 종양은 이보다 10년정도 이른 나이(평균 46세)에 잘 생긴다. 상피성 난소암은 대부분 확립된 조기 선별검사가 없고, 장액성 암종의 경우 대부분 진행된 병기(병기 III/IV)에서 발견되므로, 부인암 중 예후가 가장 나쁜 치명적인 암이다. 1) 위험인자 -많은 배란 횟수: 오랫동안 주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미산부, 불임, 빠른 초경, 늦은 폐경 등은 난소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호르몬요법과 같은 장기간의 에스트로겐 노출-유전: 대부분의 상피성 난소암은 산발적으로 발생하지만, 5-10%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유전적으로 발생한다. 유전성 난소암의 대부분은, BRCA1 혹은 BRCA2의 배선돌연변이와 연관되며, 이.. 2025. 9. 2.
자궁내막암 요인, 증상, 진단, 자궁내막암은 자궁 체부 중 내벽을 구성하는 자궁내막에서 생기는 암을 말하며, 자궁체부암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자궁내막암은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자궁내막모양 선암종, 유두상 장액성 암종, 투명세포암종, 점액암종, 편평상피암종, 혼합암종, 미분화암종으로 분류한다. 1) 위험인자 -미산부-무배란성 월경에 의한 불임증이나 월경장애-49세 이전 폐경이나 52세 이후 폐경-비만 또는 키가 큰 여성-유방암 치료제로 사용되는 타목시펜 사용-장기간 길항되지 않은 에스트로겐에 자극을 받은 경우: 다낭성난소증후군, 기능성 난소종양, 폐경 후 에스트로겐 보충요법 시 2) 증상 ①부정 자궁출혈: 가장 흔한 증상은 폐경 후의 자궁출혈로 환자들의 90%에서 나타난다. 폐경 전 여성에서는 월경과다 증상이 흔하다.②혈성 질분비물③통증.. 2025. 9. 2.
자궁경부암의 원인, 증상, 치료방 자궁경부암이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암으로 전암단계를 상당 기간 동안 거친다. 자궁경부 표면의 정상 상피세포에서 시작하여 미세한 현미경학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자궁경부 상피내이형성증을 거쳐, 상피 내에만 암세포가 존재하는 자궁경부상피내암으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 발견하지 못하여 치료하지 못하면 다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한다. 정상 상피세포에서 침윤암이 되는 과정은 수년 내지 수십 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 1) 위험인자 -자궁경부암 발병에는 고위험 인유두종바이러스의 지속적인 감염 및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조기 성생활의 시작, 다산력, 성생활 상대자의 수, 흡연, 낮은 면역 상태 및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 등과 같은 환경 요소들이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 인유두종 바이러스.. 2025. 9.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