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38 SDD (Subdural drainage) SDD (Subdural drainage) 1) 적응증 (1) 경막하 출혈(두부외상이 가장 대표적인 원인이며 자발성으로 생기는 경 우도 있음)이 발생되어 뇌조직을 심하게 압박할 경우 경막하출혈이 위치 한 부위에 Burr-Hole Drainage 수술을 시행한 후, 잔여 혈종이나 추가 혈종이 두 개강 내 머물지 않고 밖으로 배액 되도록 하는 배액관(2) 두개 골편이 함몰되어 뇌에 압력이 가해질 때 감압(3) 두개내낭종, 혈종, 수낭종 등을 배액 하기 위한 방법(병변 부위가 국소화 되어 있을 경우) 2) 특징(1) 단기간에 걸쳐 경막하혈종을 제거 및 배액하여 뇌압을 감소, 증상을 호 전시 킴(2) 급성 경막하혈종으로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다가 의식저하, 운동신경마 비, 두통 등의 신경학적 증상 악화 소견을 .. 2025. 1. 13. ELD (External lumbar drain) ELD (External lumbar drain) 1) 정의 뇌척수액을 배액시키는 방법의 한 종류로 요추(L3-4 or L4-5 or L5~S1) 의 지주막하강을 puncture하여 두개골 내로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뇌척수액 일정량을 배액시켜 뇌압력을 감소시키는 방법 2) 적응증 (1) 지주막하강의 혈액이나 농의 제거(2) 혈장이나 약물주입의 통로(3) 두개내압 감소를 위한 뇌척수액 배출(4) Hydrocephalus 의심 환자에게 시행 후 neurologic 반응이 좋아진 경우 V-P shunt 수술 여부를 결정(5) Hydrocephalus 환자에게서 급성 악화기 동안에 유용(6) CSF rhinorrhea의 conservative treatment(7) ICP 측정(8) 수술 후 피하에 나타.. 2025. 1. 13. EVD (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1) 정의 (1) 뇌실은 뇌 안의 물주머니와 같아서 여기서 만들어진 뇌척수액이 정상적으로 흐르지 못하고, 흐름이 막힐 경우 뇌실이 확장되고 이로 인해 뇌압이 갑자기 상승하게 되는 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뇌실질 내 뇌척수액을 체 외로 배출시켜 두개내압을 낮추는 방법이다.※ 두개내압(ICP) : 뇌조직(brain Tissue), 혈액(blood), 뇌척수액 (Cerebrospinal Fluid) 등의 총용적에 의해 생기는 압력(2) 뇌실 측면에 Burr Hole을 만든 뒤 도관을 삽입하고 이를 멸균 배액계에 연결한다. 대부분의 배액계는 일방향성 판막이 있어서 뇌척수액이나 공기의 역류를 예방한다.(3) 장기간 도관이 삽입되어 있게 되면 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대개는 단기 간에 걸쳐 일시적으로 뇌압을 조절하고 .. 2025. 1. 13. VFSS(Video Fluoroscopic Swellowing Test : 비디오 투시연하 검사) VFSS (Video Fluoroscopic Swellowing Test : 비디오 투시연하 검사)(1) 정의X-선 투시하에 조영제를 마시면서 구강과 인두, 식도의 움직임과 구조의 이상이나 음식덩어리의 움직임을 평가하는 방법 (2) 목적연하곤란이 있는 환자의 정확한 문제점을 확인하기 위해 (3) 적응증연하과정에 관련된 문제가 있는 환자 (4) 검사 전 간호- IV- permission- NPO 필요 없음- oral care 필요- 검사 전 L-tube 제거하기- 휠체어에 앉아서 검사- post CPA 오더 필요- 장소: 투시방 (5) 검사 후 식이진행'연하보조 다진죽식'과 '연하보조 다진상식' 둘 중에 하나를 주치의와 상의 후 결정 그 다음 '반찬 갈아서'와 '반찬 다져서' 둘 중에 하나를 주치의와 상의.. 2024. 11. 26. 이전 1 2 3 4 5 6 ··· 3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