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38

임신에 따른 생리적 변화 1) 생식기계 ①자궁-자궁의 크기는 임신 전에는 약 50g, 10cc이하의 용적에서 임신 말기에는 1000g이상, 약 5000cc이상으로 증가한다. 기존 자궁근세포들의 확장과 비대에 의해 자궁의 길이, 넓이, 두께, 무게, 용적 모두 증가한다. 임신 초기에는 주로 에스트로겐의 작용에 의해, 임신 3개월 이후에는 태아 및 부속기관의 확대로 인해 자궁용적이 증가한다. 자궁벽의 두께는 임신 초기 몇 달 동안 증가했다가 임신 말기에는 자궁근층이 1.5cm 이하로 점점 얇고 부드럽게 되어 복벽을 통해 태아의 촉지가 가능해진다.  -임신 주수에 따른 자궁저부의 위치  ②난소-임신을 하면 난소는 배란을 중단한다-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되어 배포를 착상시키고 태반을 발달시킨다. 수정 8일부터 hCG hormone이 분비되어.. 2025. 2. 24.
월경 주기와 임신 과정 월경 주기와 임신 월경은 자궁내막이 피와 함께 배출되는 것으로 월경 주기의 범위는 대체로 약 25~36일이다.여성의 10~15% 만이 정확히 28일의 주기를 가지며, 20% 이상의 여성이 불규칙한 주기를 가진다.월경은 3~7일 지속되며 평균은 5일이다. 월경 주기 중 실혈되는 양은 대개 약 14~71g이다.월경혈은 상처에 난 피와 달리 대개 출혈양이 아주 많지 않으면 응고되지 않는다. 월경 주기는 호르몬으로 조절된다. 뇌하수체에서 분비하는 황체형성 호르몬 (LH, Luteinizing Hormone)과 난포 자극 호르몬 (FSH, Follicle Stimulating Hormone)은 배란을 촉진하며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도록 난소를 자극한다.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은 수정이 가능하도록 자.. 2025. 2. 24.
모야모야병 (Moyamoya Disease, MMD) 모야모야병  (Moyamoya Disease, MMD)■ 정의특발성으로 양측의 두개강 내 내경동맥의 원위부가 서서히 폐색됨으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 뇌실질 내에서 모세혈관들이 확장되어 측부순환혈관을 형성하 게 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혈관들이 뇌혈관 조영에서 마치 모락모락 연기가 피어오르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일본에서 모야모야병으로 명명되었다.(1) 발생정상적으로 많은 피를 공급하던 큰 혈관이 막히면 부족한 피를 공급하기 위 해 뇌의 바닥 부위에서 비정상적인 미세혈관과 측부 순환이 자연적으로 발생 하게 되지만, 이러한 혈관의 혈액공급능력은 현저히 제한되어 있어 뇌출혈과 뇌경색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원인은 잘 모르고 있는 실정이며, 후천성/선 천성 여부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2) 발병-동양인 > 서양인-여.. 2025. 1. 13.
경동맥 협착증(Carotid artery stenosis) 경동맥 협착증(Carotid artery stenosis) ■ 정의 경동맥은 외경동맥과 내경동맥으로 나눠지며, 외경동맥은 두개골 밖의 피부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고 내경동맥은 두개골 내의 뇌나 신경조직에 혈액을 공급 한다. 외경동맥은 좁아지거나 막히더라도 다른 혈관을 통해서 비교적 풍부하게 혈액 이 공급되므로 특별히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내경동맥은 좁아지거나 막히면 뇌에 혈액공급이 감소할 수 있으며, 내경동맥 벽 에 침착되어 있는(쌓여서 들러붙어 있는) 지방조직들이 떨어져 나와 뇌혈관의 말단부위로 흘러가 혈관을 막을 수도 있다. 이처럼 내경동맥을 포함한 경동맥이 좁아지는 경우를 경동맥 협착증이라고 지 칭하며, 이는 혈류를 감소시키거나 혈관을 막게 되어 허혈성 뇌졸중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경동맥 협착.. 2025. 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