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6

자궁근종 Myoma에 대한 이해 자궁근종(Myoma)1) 서론- 자궁근종은 여성에서 발생하는 종양 가운데 가장 흔한 종양으로, 가임기 여성의 20-30%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35세 이상의 여성에서는 40-50%가 발견되는 매우 흔한 질병이다(Zaloudek and Norris, 1994;Hendrickson and Kempson, 1995;Marshallet al., 1997). 자궁근종의 원인은 현재까지 그 원인 이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자궁평활근 내에 있는 하나의 신생세포(neoplastic cell)에서부터 기인한다 고 알려져 있다(Townsend et al., 1970). 이외에 가족적 경향도 있고, 임신 중에는 크기가 커지고 폐경 후에 는 크기가 줄어드는 형태를 보이므로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것으.. 2025. 4. 17.
고위험산모의 출혈성 합병증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산후출혈, 1) 전치태반(1) 정의와 진단-태반이 자궁의 하부에 착상하여 자궁 내부를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것으로 질식분만 시 태반이 태아보다 먼저 배출된다. -전치태반은 약 250번의 분만 중 1번 꼴로 발생한다. 임신 중기 동안 많게는 임산부의 2%에서 전치태반이 발생하며, 분만 전 여성의 90% 이상에서 자연스럽게 해결된다.-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 할 수 있다. (2) 분류①Placenta Previa Totalis (PPT) : 태반이 내자궁구를 완전히 덮은 상태②Placenta Previa Partialis (PPP) : 태반이 내자궁구를 부분적으로 덮은 상태③Placenta Previa Marginalis (PPM) : 태반의 가장자리가 내자궁구에 접해 있는 상태④하부전치태반 low lyin.. 2025. 4. 17.
고위험산모 자간전증, 당뇨, 조기진통, 조기양막파열, 자궁경부무력증 1. 자간전증(Preeclampsia, PE)1) 산모의 혈압과 관련된 진단 구분 (1) PE의 진단기준✔ 임신 20주 이후 처음으로 진단✔ SBP 140mmHg이상 or DBP 90mmHg 이상의 고혈압✔ 의미 있는 단백뇨1)가 있거나 다음 중 한가지 이상이 수반될 때 진단.∎ low platelet (100k 미만)∎ 신기능 악화 : Cr 1.1mg/dL 또는 기존의 2배 이상 상승한 경우∎ 간 기능 저하 : 정상의 2배 이상 상승한 간수치∎ Sx : HA, blurred vision, Sz, epigastric pain 등∎ pul.edema(폐부종) 2. 당뇨 (GDM)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1) 산모의 당뇨과 관련된 진단 구분GDM(Gestational Diab.. 2025. 4. 17.
임신중 태아 초음파 방법 1)초음파 (1) 목적: 태아의 수, 태위, 태아 생존력 확인, 태반의 위치, 태아 선진부, 양수의 양, 재태연령 측정, 태아 심 장활동, 모체 골반 종양의 유무, 비정상적 해부학적 구조 등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된다. 또한 양수천자와 같은 침습적 검사 시행 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가이드로 활용되기도 한다. (2) 검사방법①질식 초음파-probe를 질 속으로 삽입하여 골반구조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복부초음파에 비해 골반구조에 더 가까이 접 근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명확하게 골반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주로 임신 초기 자궁 내 정상임신 확인, 임신 주수 확인, 다태임신 확인, 염색체 이상아 선별, 임신 초기 태아의 구조적 기형유무 선별, 임부의 자궁 및 난소 확인, 자궁경부무력증의 증상을 사정하여 조산 가.. 2025. 4.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