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38

전립선비대증 (Benign Prostate Hyperplasia; BPH)  전립선비대증(Benign Prostate Hyperplasia; BPH)  1. 정의보통 남성이 40세가 되면 조직학적으로 전립선 요도 주위 구역에서 시작되어 전립서의 기질과 상피세포 증식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환자는 보통 약한 요류, 소변이 갈라져서 나오는 증상, 소변 주저, 빈뇨, 요절박, 야간뇨, 잔뇨감 등과 같은 증상을 호소한다. 중년 남성에게 매우 흔한 질병으로 약물치료에도 반응하지 않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 할 수 있다.  2. 수술 종류 및 방법1) TURP (Transurethral resection of prostate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 표주 수술법인 경요도 전립선절제술은 전립선 조직을 요도 안에서 밖으로 제거해 나가므로 비대해진 전립선 조직을 완전히 제거 하는.. 2024. 11. 17.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 Radical retropubic prostatectomy (RRP)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 Radical retropubic prostatectomy (RRP) 1) 정의전체 전립선과 정낭, 정관과 같은 주변 조직과 골반 림프절을 함께 제거하는 것을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이라고 한다. 2) 수술방법① RRP : 배의 정중앙에 절개를 가한 후 정낭을 포함하여 전립선을 적출하고 방광과 요도를 다시 연결해 준다. 필요에 따라 골반 림프절 절제술을 함께 하기도 한다. ② RALP(Robot-Assisted Laparoscopic Prostatectomy) : 전립선암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빈치(da Vinci)라는 로봇은 총 4개의 팔을 가진 수술 전용 로봇으로 정밀한 수술을 할 수 있다. RRP와 달리 6개 정도의 작은 절개창을 이용하므로 환자에 대한 침습도를 최소한으로 한다.. 2024. 11. 15.
TRUS-BX: transrectal US-guided prostate biopsy 경직장 초음파유도하 전립선 생검 TRUS-BX: transrectal US-guided prostate biopsy 경직장 초음파유도하 전립선 생검1) 정의전립선암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확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검사이다. 현재 많은 비뇨기과 의사들이 전립선특이항원 수치가 2.5ng/mL 혹은 3ng/mL 이상인 경우에도 생검을 시행하고 있다. 전립선 특이항원 수치가 상승되어 조직검사를 시행할 경우에는 위양성의 가능성이 있어 몇 주 후 다시 측정하여도 PSA가 상승되어 있는 경우에 생검을 시행한다.  2) 검사방법항문을 통하여 조직검사용 침이 달린 초음파봉을 넣은 후 전립선을 초음파로 비춰 보면서 6군데 내지 12군데 정도 조직검사용 침을 이용하여 조직을 얻어 내게 된다. 3) 시술 전 간호 (보통 당일 조식 후 금식후 11시전 입원하여 .. 2024. 11. 15.
전립선암에 대한 이해  전립선암 1) 역학: 40세 이하는 드물고 50대 이상 남성에서 급격히 증가한다.2) 원인물질: 여러 가지가 추정되고 있으나 아직 제대로 밝혀진 것은 없다. 서양에서의 보고에 따르면 지방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을 많이 섭취하면 전립선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유전적으로 가족 중 전립선암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에게 위험도가 높아진다.  3) 증상: 암이 전립선의 주변부부터 시작되어 중앙부로 커지게 되기 때문에 암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런 증상이 보이지 않는다. 요로 패쇄로 인한 핍뇨 증상이 나타날 때쯤이면 이미 뼈나 림프종으로 전이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소변 볼 때 머뭇거리며 (dysuria), 소변줄기가 가늘어지고, 소변 본 후에도 잔뇨감과 같은 전립선 비대증에 걸렸을 때의 증상이 주로 나.. 2024. 11. 15.
반응형